인플레이션의 뜻, 의미
폭등한 물가가 좀처럼 잡히지 않는 요즘, 다들 한 번쯤은 인플레이션이라는 단어를 들어봤을 것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물가가 오르고, 오른 물가를 진정시키기 위해 금리를 올린다는데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일까? 오늘은 인플레이션의 뜻과 의미를 알아보고, 왜 발생하게 되는지 원인에 대해 사전적인 정보와 나의 개인적인 견해를 공유해 보려고 한다. 이러한 현상들을 이해해 놓는다면 추후에 경제 시장을 지켜보면서, 상황에 맞춰 투자할 수 있는 눈을 기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현상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인플레이션이란 시중에 통화량이 증가하여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고,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물가가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1980년대에는 700원으로 자장면을 사 먹을 수 있었지만, 현재는 7000으로 사 먹을 수 있는 곳도 찾기가 힘들다. 화폐의 가치가 떨어져서 떨어진 값만큼 물가가 오른 것이다. 인플레이션 현상이 왜 나타나게 되는지 원인을 알아보자.
인플레이션의 원인
인플레이션의 원인 즉,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비용 인플레이션, 수요 인플레이션 등에 대해 말해보겠다. ① [비용 인플레이션] ▶ 제품을 생산하는 데에 소요되는 생산비용이 오르면, 이에 맞춰 제품의 가격도 같이 오르기 때문에 전반적인 물가가 올라버리게 되는데, 예로 어떤 물건을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의 값이 오르면, 이 재료가 들어가는 모든 제품들의 값이 같이 오르게 되는 것을 보고, 비용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② [수요 인플레이션] ▶수요는 크게 증가하지만 공급량은 증가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현상을 수요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돈이 많아지게 되면, 그만큼 소비가 증가하지만 늘어나는 소비만큼 물건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 일어난다.
내가 생각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
다만, 내 개인적인 견해로, 이러한 원인들은 결국 수요와 공급만 맞춰진다면, 쉽진 않겠지만 어쨌든 해결될 수 있는 일시적인 물가상승에 그친다고 본다. 본질적인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통화량 팽창과 관련이 있다. 유명한 경제학자가 말하길 "인플레이션이라는 것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통화량이 생산량보다 빠르게 늘어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인플레이션은 화폐적 현상이다."라는 발언을 했다. 난 이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이유를 생각해 보면 굉장히 당연하고 간단하다. 화폐를 빠르게 많이 발행하여, 그 희소성이 점점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건의 수요와 공급이 물가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결국 근본적인 원인은 기존에 발행되어 있는 화폐가 있는 상태에서 계속하여 화폐를 찍어내기 때문에, 자연스레 화폐의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귀하게" 여기는 것들을 생각해 보면 된다. 금, 다이아몬드 등으로 예를 들자면, 금이나 다이아몬드가 길가에 널린 돌처럼 땅만 파도 나온다면 과연 지금처럼 비싼 값에 거래가 될까? 당연히 아니다. 또한, 한정판이 비싼 이유가 무엇인가? 말 그대로 "한정판" 즉, 희소성이 있기 때문에 비싼 값에 거래가 되는 것이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유한하기 때문에 희소성이 있는 것이고, 그 유한함(희소성)의 정도에 따라 값이 매겨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 마디로 돈(화폐)이 너무 많아져서 자연스레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주 단순하고 당연한 논리라고 생각한다.
인플레이션을 막는 방법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위에서 설명한 원인을 해결하면 된다. 발행하는 화폐량을 줄이고, 공급이 부족한 물건이 있다면, 그 물건의 공급을 늘려주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인플레이션의 반대인 디플레이션 정책을 쓰는 방법이 있다. 디플레이션이란 통화량이 축소되어 물가가 내려가고 경제가 침체되는 현상을 뜻한다. 디플레이션 현상을 이용하여 통화량을 감소시키고, 수요를 억제하여 소비지출을 막아서 물가를 안정시키는 정책인 셈이다. 하지만 디플레이션 정책도 과하게 할 경우 오히려 경제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해야 한다. 그 이유로는 사람들의 소비가 정체되면, 물가는 하락하게 되고, 물가가 계속해서 하락하면, 기업들은 고용 또는 성장 등을 포기하면서 월급을 동결시키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구조조정에 이르게 된다. 구조조정과 고용이 안 되어 실업자가 늘어나게 되고, 자연스레 소비는 더 줄게 될 것이며, 물가는 계속해서 떨어질 것이다. 이렇게 되면 자본이 부족한 회사들은 줄도산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현상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반복되면서 경제가 악화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적당한 긴축정책 등으로 과열된 경기를 억제시켜 주는 것이 관건이라고 본다.
글을 마치며
인플레이션의 뜻은 무엇인지, 원인과 해결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경제는 알아갈수록 복잡하면서 단순한 것 같기도 하다.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등을 포함한 경제 상황이 본인과는 연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꽤나 많다. 그러나 모든 부분이 우리의 일상과 직접적으로 맞닿아있기 때문에, 현재의 시장 흐름을 파악하는 눈을 키워 투자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이 포스팅을 읽은 모두가 경제적 자유에 한 발자국 다가섰길 바란다.
'경제ㆍ부동산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온라인, 오프라인 방법 (0) | 2023.10.08 |
---|---|
보금자리론 실거주 안 해도 된다고?(모르면 손해) (3) | 2023.10.07 |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부동산 거래 신고) (1) | 2023.02.07 |
양도소득세(양도세) 계산기 (0) | 2023.02.02 |
부동산 디스코 활용법(등기부등본 무료 발급 등) (1) | 2023.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