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사이트 "디스코"
부동산 종합 서비스의 조상 격인 디스코는 전국에 모든 종류의 부동산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대표적인 부동산 종합 사이트이다. PC사이트뿐만 아니라 모바일 앱으로도 실거래가 조회부터 토지대장, 매물 조회, 경매 정보, 등기부등본 등 부동산과 관련된 모든 것을 한 번에 볼 수 있는 부동산 만물상인 셈이다. 디스코를 이용하여 등기부등본 무료 발급 등을 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정보들을 공유하려고 한다. 끝까지 읽는다면 부동산 공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디스코 사용방법

포털 사이트에 "디스코" 검색 후 사이트에 접속한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바로 보이는 왼쪽 상단 돋보기 모양 클릭 후 검색창에 본인이 확인할 부동산 주소를 검색하거나, 화면 중앙에 보이는 지도를 직접 움직여서 본인이 찾는 부동산을 선택하면 된다.

필터를 이용하여 본인이 찾고자 하는 부동산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상업용 건물, 토지, 상가, 단독/다가구, 아파트, 오피스텔, 분양권 등뿐만 아니라 숙박시설까지도 세부적으로 나눠서 설정하여 검색하면, 본인의 니즈에 맞는 물건만 쉽게 볼 수 있다.

난 아파트를 검색해 보았다. 본인이 확인해보고 싶은 아파트의 주소를 입력하고 검색하면 된다. 실거래가, 매물, 경매, 토지, 건물, 등기 정보를 볼 수 있다. 표시된 곳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 후 관련 정보를 얻으면 된다. 다만, 매물의 경우 디스코에는 많이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다른 부동산 사이트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 ▼▼부동산 사이트 정리 포스팅▼▼
아파트 실거래 조회 및 부동산 사이트 정리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및 정보 사이트 소개 요즘엔 직접 부동산에 찾아가서 매물을 보거나 집을 구경하는 사람보다 인터넷으로 보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많은 사이트들이 존재하고 사이트
loobby.tistory.com
부동산 등기부등본 무료 열람 및 발급하는 법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을 하려면 "인터넷 등기소"에 접속하여 열람은 700원, 발급은 1,000원의 수수료를 납부해야 열람 및 발급을 할 수 있다. 사실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 수수료가 엄청나게 비싼 가격은 아니다. 하지만 티끌 모아 태산이라고 부동산에 관심이 있다면, 여러 번 열람이나 발급을 해야 할 일이 생길 것이다. 이것도 쌓이면 수수료값이 꽤나 부담이 된다. 이럴 때 아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디스코의 등기부등본 무료 발급에 대해 알아보자.

여기까지는 동일하게 들어온 뒤, 오른쪽 끝에 등기를 선택하면 된다.

등기를 선택하면 이러한 화면이 나온다. 집합건물과 토지 중 본인이 발급하려는 부동산 유형 선택 후 밑에 "선착순 무료발급"을 누르면 된다. 여기서 아쉬운 점은 매일 오전 9시에 선착순으로 1000건까지만 무료 발급이 가능하다. 알아두었다가 한 번씩 써먹으면 아이스크림 값을 벌 수 있다. 부동산 등기부등본 무료 발급을 놓쳐서 유료 발급을 해야 할 경우에는 1,000원의 수수료 납부 후 발급받을 수 있다. 발급을 꼭 하지 않고, 열람만 해도 된다면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 사이트를 이용하여 열람 수수료 700원만 납부하고 열람할 수 있다. ※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 정보▼▼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 하는법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하는 방법 부동산 매매, 전세, 월세 등 계약을 할 때, 필수적으로 확인해봐야 하는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 방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부동산 등기부등본
loobby.tistory.com
1인당 횟수제한도 있고, 모든 사람들이 이것만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생각보다 엄청나게 치열하진 않다. 등기부등본 발급이 필요할 때, 이 방법을 기억해 두었다가 가끔 이용한다면 꽤나 유용할 것이다.
'경제ㆍ부동산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부동산 거래 신고) (1) | 2023.02.07 |
---|---|
양도소득세(양도세) 계산기 (0) | 2023.02.02 |
공시지가 조회 방법 (0) | 2023.01.27 |
아파트 매매 계약서 특약사항 및 작성요령 (2) | 2023.01.24 |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 하는법 (1) | 2023.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