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애 첫 주택 혜택 종류 뭐가 있을까?
집값은 비싸고 쭉쭉 오르는 물가에 서민 무주택자들이 내 집마련을 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다. 그렇기에 정부에서는 별에 닿을 수 있는 사다리를 놓기 위해 새로운 정책들을 만들고, 기존의 정책은 개선시키고 있다. 생애 첫 주택자에게 어떠한 종류의 혜택들이 있는지 정리해 보자.
생애 첫 주택 보금자리론
나라에서 운영하는 한국주택금융공사 상품인 보금자리론 있다. 나라에서 운영하는 만큼 시중 은행의 주담대보다 낮은 금리로 주담대를 받을 수 있다. 은행에서 취급하지 않는 체증식 상환 방법이 있고, 최대 만기는 40년까지 가능하다. 월 상환액이 부담되는 사람들에게는 아주 고마운 상품이다. 2022.09.15일부로는 전입 의무도 사라졌기 때문에 실거주 목적이 아니더라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본 최대 LTV는 70%이지만 2022.11.28일부로 생애 첫 주택 구입일 경우 최대 LTV 80%까지도 나온다. 집을 마련하고 싶은 무주택 서민들에게 아주 좋은 정책이자 기회라고 생각한다. [보금자리론과 체증식 상환 정보▼▼▼]
대출 체증식vs원리금균등 비교 뭐가 더 좋을까
체증식과 원리금균등 상환 중에 무엇을 선택해야 하나 시작하자마자 결론부터 말하자면 만 40세 미만이고, 조금이라도 투자 마인드가 있다?? 나라면 뒤도 안 돌아보고 체증식을 선택한다. 이유
loobby.tistory.com
보금자리론 실거주 안 해도 된다고?(모르면 손해)
보금자리론 실거주 안 해도 이용 가능 보금자리론은 서민 실수요자들을 위한 상품으로 투자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출 실행 후 3개월 이내에 전입하고 1년 이상 유지해야 하는
loobby.tistory.com
생애 첫 주택 디딤돌
보금자리론과 마찬가지로 한국주택금융공사 상품인 디딤돌이 있다. 디딤돌은 철저하게 서민 실거주자만을 위한 상품이기 때문에 보금자리론에 비해 요건이 좀 더 까다롭고 빡빡하다. 대신 보금자리론 보다도 현저히 낮은 금리를 이용할 수 있다. 디딤돌도 2023.01.01부로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에 한해서 LTV80%까지 가능하다. 디딤돌은 대출 실행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전입을 하고 1년 이상 유지해야 하는 실거주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또한, 대출 신청을 할 때에도 방공제 금액이나 본인 또는 배우자 합산 소득 등 디딤돌 상품의 요건에 부합하는지 신경 써서 계획을 세워야 한다. 디딤돌의 최대 만기는 30년으로 체증식 상환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디딤돌 상세 설명▼▼▼]
디딤돌 생애최초 LTV 80% 적용
2023.01.01 디딤돌 생애최초 80% 시행 드디어 저금리 끝판왕 디딤돌에도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일 경우 LTV 80%가 적용 가능해진다. 디딤돌은 현존하는 주담대 중에 가장 금리가 낮은 상품이다. 2022년
loobby.tistory.com
생애 첫 주택 취득세 감면
기존에도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에게는 취득세 감면 혜택이 있긴 있었다. 부부합산 연소득 7000만 원 이하, 주택 가격 수도권은 4억, 비수도권은 3억 이하여야지만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이 조건에 부합한 생애 첫 주택 구입자라면 1억 5000만 원 이하 주택 구입자는 취득세 면제였고, 1억 5000만 원을 초과하면 취득세 50%만 감면받을 수 있었다. 생애 첫 주택 구입자더라도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취득세 감면 혜택을 전혀 받지 못했었다. 하지만 2022.06.21일 부로 연소득 및 주택 가격 등 기존의 조건들이 사라지고, 처음 주택을 구입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취득세 200만 원을 감면받을 수 있게 되었다. 단, 3개월 이내에 전입해서 실거주를 해야 하고, 3개월 이내에 추가 주택 구입을 하면 안 된다. 또한, 매수한 주택에 실거주 기간이 3년 미만인 상태에서 매도하거나 임대를 주면 안 된다. ※ 현재 규정으로는 2023.12.31일까지 한시적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생애 첫 주택 혜택 적용받으려면
이 정책들이 언제까지고 계속 시행한다는 보장은 없다. 본인이 매수하려는 계획을 세웠다면, 본인만의 타이밍에 맞게 움직이는 것을 추천한다. 나 같은 서민에게는 LTV10%도 중요하고, 취득세 1%도 크게 느껴진다. 생애 첫 주택에 관한 정책들을 잘 알아둔다면 나중에 필요할 때 도움이 될 것이다.
오늘은 생애 첫 주택 혜택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김부동이 준비한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다른 분들께 알차고 좋은 정보 전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ㆍ부동산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실거래 조회 및 부동산 사이트 정리 (0) | 2023.01.13 |
---|---|
서울 동북권 핵심사업 창동 아레나 시공사 선정 (0) | 2023.01.11 |
재개발 재건축 차이점 뭐가 다른걸까? (0) | 2023.01.09 |
특례 보금자리론 시행 부동산 시세 전망 (0) | 2023.01.07 |
재건축 용적률 건폐율 차이점 (0) | 2023.01.06 |
댓글